신안동 (천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안동은 대한민국 천안시의 행정 구역이다. 930년 천안도독부 설치 지역이었으며, 1914년 천안군 영성면의 일부였다. 1970년 신안출장소 설치, 1975년 신안동사무소 설치를 거쳐 1996년 행정구역이 축소되었다. 관할 법정동으로는 신부동과 안서동이 있으며, 신부동은 천안의 번화가로, 안서동에는 여러 대학교와 병원이 위치해 있다. 교통 시설로는 천안종합터미널, 천안 나들목, 두정역 등이 있으며, 여러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구의 행정동 - 중앙동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있는 행정동인 중앙동은 대룡동과 남산동이 통합되어 개청되었으며 오룡동, 사직동, 영성동, 대흥동을 관할하고, 과거 천안읍성의 중심지였던 오룡동에는 천안군 관아와 객사 등이 있었고 현재 천안역과 남산중앙시장, 남산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동남구의 행정동 - 청룡동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남부에 위치한 청룡동은 구성동, 청당동, 구룡동, 삼룡동으로 구성되어 천안 시내와 주변 지역을 잇는 교통 요충지이자 청수지구와 청당지구 택지개발로 발전한 주거 지역이며, 특히 청당동에는 주요 공공기관과 천안삼거리공원, 천안박물관 등 문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천안시의 행정 구역 - 서북구
천안시 서북구는 2008년 신설된 천안시의 2개 구 중 하나로, 백제 초기 유적지와 성거산, 망향의동산 등의 관광 명소, 남서울대, 백석대 등의 교육기관, 그리고 천안배, 거봉포도 등의 특산물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천안시의 행정 구역 - 백석동 (천안시)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은 쌍용동에서 분동되어 현재 백석1동과 백석2동으로 나뉘며, 천안종합운동장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고 흰색 바위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진 지역이다. - 1975년 설치 - 목동 (서울)
목동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목장에서 유래되었으며, 1980년대 신시가지 개발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주요 주거 지역이 되었고, SBS 본사 등의 주요 시설과 높은 교육열이 특징이며, 5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 1975년 설치 - 남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남구는 시의 동남쪽에 위치하며, 과거 동래군과 동래부에 속했고, 1975년 부산진구, 동구, 동래구 일부 지역을 관할로 설치되어 1995년 수영구 분구 후 현재 17개 행정동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오륙도, 이기대공원 등 해안선과 대학교, 문화 시설을 갖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
신안동 (천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신안동 기본 정보 | |
이름 | 신안동 |
한자 표기 | 新安洞 |
영문 표기 | Shinan-dong |
광역시도 | 충청남도 |
시군구 | 천안시 동남구 |
면적 | 11.54 |
세대 | 14,354 |
세대 조사 기준 | 2016.12.31. |
인구 | 31,459 |
인구 조사 기준 | 2016.12.31. |
법정동 | 신부동, 안서동 |
통 | 52 |
반 | 250 |
동주민센터 주소 | (우) 31125 동남구 신부3길 16-6 (신부동 485) |
홈페이지 | 신안동행정복지센터 |
2. 행정 구역 연혁
- 930년 천안도독부 설치 지역이었다.
- 1914년 천안군 영성면 신부리, 안서리였다.
-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천안시로 승격되었다.
- 1970년 7월 1일 천안시 신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5년 1월 1일 신안동사무소가 설치되었다.
- 1996년 11월 1일 행정구역이 축소되어 유량동을 원성1동에 편입하였다.
3. 관할 법정동
3. 1. 신부동 (新富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천안군 북일면 지역의 신대(新垈), 역리(驛里)를 합하여 신부리(新富里)가 되었다. 1963년 천안시 승격과 함께 동으로 전환되어 오늘날의 신부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천안 나들목이 이곳에 위치하여 시외 지역으로 출입하기 편리하며, 천안종합터미널과 인근에 위치한 두정역, 천안역 덕분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편리하다. 또한 천안터미널, 신세계백화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업지구가 형성된 곳으로 천안시내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최대의 번화가가 자리잡고 있다. 1995년부터 터미널 뒤편에 많은 아파트들이 지어져 주거단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신부주공 2단지와 역말오거리, 두정역 인근 지역에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3. 2. 안서동 (安棲洞)
엄리(嚴里) 또는 암리(岩里)가 주된 부락이었으며, 신천 부락 윗쪽에 있는 안서골(安棲谷, 일명 안소골)에 연유하여 안서동이라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경계에 있어 성거, 입장, 안성으로 이르는 도로변에 발달하였고, 대개 동쪽의 높은 산을 등지고 서향한 산촌(山村) 지역이다. 산간 계곡을 따라 부락이 발달되었고, 상암(上岩, 윗말), 중암(中岩, 중말), 하암(下岩, 아랫말), 신천(新川), 수월(水越, 무너미) 등으로 나뉘어 있다.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안서리가 되었다가, 1931년 천안군 환성면에 예속되었고, 1963년 천안시 승격과 함께 안서동이 되었다. 안서천에 연결되는 천안천을 중심으로 천호지(안서호 또는 단대호수) 양쪽에 발달된 지역으로, 5개의 대학(단국대학교, 상명대학교, 백석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호서대학교)과 상급종합병원인 단국대학교병원, 중부권 유일의 단국대학교치과대학병원이 있다.

4. 교육
4. 1. 초등학교
4. 2. 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와 북일여자고등학교는 신부동에 있다.4. 3. 대학교
5. 교통
신안동에는 여러 교통 시설이 위치해 있다. 천안종합터미널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며, 경부고속도로 천안 나들목이 있어 자가용을 이용한 이동도 용이하다. 또한 수도권 전철 1호선 두정역이 있어 수도권으로의 접근성도 좋다.
6. 아파트
신부우방은 1995년 11월에 입주했다. 신부경남은 신부주공 1단지를 재건축하여 2000년 3월에 입주했다. 신부 디 이스트는 신부주공 2단지를 재건축하여 2018년 5월에 입주했으며, 1단지는 신부8길 21, 2단지는 신원2길 61에 위치한다. 힐스테이트 신부는 현대엔지니어링이 건설하여 2017년 8월에 입주했으며, 주소는 동남구 북일로 70이다. 대림한내, 대림한들, 대림한숲은 대림산업이 건설하여 1995년 10월에 입주했다. e편한세상 안서 1단지는 2005년 8월에 입주했으며, 주소는 동남구 성불사길 41이다. 부경파크빌 2차는 2004년 7월에 입주했으며, 주소는 동남구 성불사길 36이다. 포레나 천안신부는 한화㈜ 건설부문이 건설하여 2023년 12월에 입주했으며, 주소는 동남구 천안대로 888이다. 천안신부 휴먼시아는 2009년 9월에 입주했으며, 주소는 동남구 천안천8길 45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